안녕하세요. 최근 국민연금을 조기 수령하는 분들이 크게 늘고 있다고 해요. 2024년 기준 약 96만 명이 조기 수령을 선택했고, 곧 100만 명을 넘어설 거라고 해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굳이 손해를 감수하면서 일찍 연금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실, 조기 수령은 ‘감액’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실생활에서 오는 여러 현실적인 이유들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택하고 있어요. 국민연금 조기 수령의 장단점과 실제 어떤 경우에 선택하는 게 좋은지에 대해 작성해보려 합니다👍
✅ 조기 수령, 왜 늘어나고 있을까요?
▶ 소득 공백이 너무 길어요
많은 분들이 50대 초반에 퇴직을 하게 되는데요, 정식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65세까지는 무려 공배기간이 10년 이상을 기다려야 해요. 이 기간 동안 별다른 소득이 없다면, 당장 생계가 어려울 수밖에 없죠. 그래서 조기 수령을 선택해 생활비에 보태려고 하는 거죠. 그런데 매년 6%씩 감액되니까 5년 일찍 받으면 국민연금 수령액의 30% 깍이는 셈이에요.
▶ 생계비가 급해요
사업 실패, 건강 문제, 실직 등으로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 국민연금이 유일한 수입이 될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라면 ‘얼마 깎이더라도 당장 받는 게 낫다’는 판단이 생기기도 해요. 당장 쓸 돈이 없으니까요.
▶ 국민연금 고갈 뉴스가 불안해요
언론에서 자주 나오는 ‘국민연금 고갈’ 기사들, 많이 보셨죠? ‘나중에 못 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일찍 수령하려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기사 보면 30년 뒤 고갈된다고 하니 불안한 분들은 조기에 신청해서 받고 있어요.
▶ 건강보험 피부양자 탈락 우려
연간 국민연금 수령액이 2천만 원을 넘으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될 수 있어요. 이로 인해 건강보험료를 따로 내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조기 수령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어요.
▶ 투자나 창업에 활용하고 싶어요
일부 분들은 연금을 단순한 생활비가 아니라, 자산을 늘리기 위한 ‘투자 자금’으로 사용하기도 해요. 창업, 부동산 투자 등에 활용해 더 많은 수익을 얻으려고 해요.
📌 [노령연금 수급개시 연령 안내]
출생연도 | 수급개시연령 | |
노령연금 | 조기노령연금 | |
1952년생 이전 | 60세 | 55세 |
1953년 ~ 1956년생 | 61세 | 56세 |
1957년 ~ 1960년생 | 62세 | 57세 |
1961년 ~ 1964년생 | 63세 | 58세 |
1965년 ~ 1968년생 | 64세 | 59세 |
1969년생 이후 | 65세 | 60세 |
👍조기 수령 조건은?
-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최소 10년 이상이여야해요.
- 위에 표에서 보듯 나이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 소득이 없거나 적어야 해요.
👍 조기 수령의 장점은요?
- 당장 필요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 창업 자금, 투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 일찍 수령하면 상대적으로 오래 받을 수 있어요
👎 단점은.
- 가장 큰 단점은 역시 평생 감액이에요. 전체 연금 총액이 줄어든다는 거죠.
- 만약에 내가 5년 일찍 연금을 받으면 무려 30%가 줄어듭니다 그런데 내가 기대 수명이 짧으면 유리할 수도 있겠지만요
-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 가치 하락도 무시할 수 없어요.
- 10년 후엔 지금 70만 원이 50만 원의 가치를 할 수도 있어요.
- 건강하게 오래 살면 오히려 더 큰 손해가 될 수 있어요.
- 평균 수명이 85세를 넘는 요즘, 20~30년은 연금이 생계의 큰 부분이 될 수 있죠.
📌 그럼 언제 조기 수령이 유리할까요?
- 소득이 전혀 없고, 생계가 급할 때
- 건강이 안 좋아서 오래 살기 힘들 거 같을 때
- 연금을 자산 증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때
▶반대로 다른 소득원이 있거나, 건강이 좋아 오래 살 가능성이 크다면, 정상 수령을 선택하는 게 유리해요. 또, 감액 없이 받을 수 있는 시점을 기다리는 것도 장기적으로는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어요.
▶ 국민연금 조기 수령은 단순한 ‘이익 손해’의 문제가 아니에요. 본인의 건강, 재정 상황, 노후 계획 등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한 선택이에요. 무조건 남들 따라가다가는 후회할 수도 있어요.
혹시 지금 조기 수령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참고가 되었으면 해요. 본인의 재정상태를 파악하시고 조금 더 깊이 알아보시고, 현명한 판단으로 후회 없는 노후를 준비해 보세요.